리눅스 입문 - 소유권, SetUID와GID

2023. 9. 23. 07:34Linux

빨간 박스안에 있는게 소유권이다. 왼쪽 순서대로 사용자 소유권과 그룹 소유권을 의미한다.

소유권은 사용자와 그룹의 소유권한을 나타낸다.

그룹 소유권에서는 같은 그룹에 있는 사용자들끼리 동일한 소유권과 작업 권한을 갖게 된다.

이러한 소유권도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chown(change owner)이다.

사용 방법은 chown 소유자 파일명이다. ◀ 이 명령어는 단순히 사용자의 소유권을 바꿔주는 것이고

chown :그룹 파일명으로 사용하게 된다면 그룹의 소유자가 변경되게 된다.

허가권가 마찬가지로 -R을 붙여주게 된다면 하위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권이 바뀌게 된다.

물론 chown으로 사용자, 그룹을 바꾸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그룹만 단독적으로 바꾸는 명령어도 있다.

chgrp로 그룹만 변경되는 모습.

chgrp(change group)은 그룹 소유권만을 변경시켜 주는 명령어이며 chown과 마찬가지로

-R옵션을 붙여 사용하면 하위 파일과 디렉터리의 그룹 소유권을 전부 변경시켜 준다. 

SetUID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파일의 소유자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SetUID의 절대값은 4000이다.

chmod 4644로 변경할시 실행권한이 없기 때문에 대문자 S로 표기되는 반면

chmod 4744로 변경할시 실행권한이 생기기에 소문자 s로 표기된다.

이는 rwx/rwx/rwx의 맨 앞자리의 user부분의 실행권한을 봐야한다.

SetGID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파일의 그룹 소유자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SetGID의 절대값은 2000이다.

chmod 2644로 변경할시 실행권한이 없기 때문에 대문자 S로 표기되는 반면

chmod 2774로 변경할시 실행권한이 생기기에 소문자 s로 표기된다.

이는 rwx/rwx/rwx의 맨 앞자리의 group부분의 실행권한을 봐야한다.

///////////////////////////////////////////////////////////////////////////////////////////////////////////////////////////////////////////////////////

이 외에도 Sticky비트가 존재하는데 이는 공용 디렉토리를 사용할 때 설정하여 사용한다.

절대값은 1000이며 표기되는 알파벳은 기타 사용자에 t로써 표기된다.

ex) drwxrwxrw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