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9)
-
네크워크 이론(1일차 ~ 8일차)
★Network란? - 컴퓨터 간의 파일 공유 및 디렉터리 공유 - 전자 메일 등 커뮤니케이션 지원 - 전자 뉴스나 www에 의한 정보 공유 ★KT DNS서버주소(168.126.63.1) -국가에서 제공하는 DNS IP주소. -이 IP주소를 가지고 웹브라우저,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한다. ★구글 DNS서버주소(8.8.8.8) ★네트워크 장점 - 비용절감(인건비 및 업무효율성 극대화) - 빠른 정보 공유 및 전달. - 많은 퍼포먼스와 컨텐츠. ★네트워크 단점 -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성비용.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유지 관리비용. - 불필요한 정보공유(바이러스 및 악성코드등) ★네트워크 2가지 1. LAN(Local Area Network)근거리 통신망. - 조직내부나 동일 건물 등 비교적 좁은..
2023.09.22 -
네트워크 이론 8일차(Routing Protocol)
Routing Protocol(EIGRP) -Cisco에서 만든 Cisco 전용 Routing Protocol -RIP과 동일하게 Split-Horizen이 적용되고, Major 네트워크 경계에서 auto-summary가 된다. -Routing 정보 전송을 위해 IP프로토콜 88번 사용 -IGRP가 발전된 Routing protocol -DUAL(Diffusing Update Algorithm) 알고리즘 사용하여 Successor(최적 경로)와 Feasible Successor(후속 경로)를 선출 -Convergence time이 빠르다. ->Feasible Successor가 존재할 경우 Best path에 이상이 생기면 Feasible Successor의 경로를 Best path로 올린다. -AD(A..
2023.09.22 -
네트워크 이론 7일차(Router의 Mode, 콘솔포트)
※Router의 Mode 3)User Mode -사용중인 Router에 Console 혹은 Telnet으로 접속하면 처음 보이는 화면 -프롬프트가 기복적으로 'Router>'로 표시 -User mode에서는 Ping test 혹은 Trace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Router의 구성파일을 보거나 수정할 수는 없다. -가장 기본적인 실행모드,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 모드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맞게 끔 명령어를 제한 ->즉, User mode에서는 제한된 명령어를 사용해 간단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지만 설정은 할 수 없다. 4)Privileged Mode -Router의 운영자 모드 -User mode에서 'enable' 명령어를 사용하면 Privileged Modefh emfdjdhsek. (passwo..
2023.09.22 -
네트워크 이론 6일차(Router, Telnet, RAM과 ROM)
※Router ※Router의 역활 -Router는 Layer 3 (Network 계층)장비이다. -서로 다른 Netwrok를 연결하고 Broadcast Domain을 나눈다. -라우터는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packet의 목적지 IP주소를 보고 목적지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할 것을 결정 이를 'Routing'이라고 한다,. -라우터의 기본 기능은 경로 결정(best path/최적 경로) 경로에 따른 packet전송(스위칭) (그 외에도 네트워크 보안,QoS등의 기능도 있다.) -경로결정:packet이 목적지로 갈 수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 어느 경로가 가장 최적경로(Best path)인지 결정 -스위칭:결정된 경로대로 packet을 전송해주는 것 -Router는 Routing tab..
2023.09.22 -
네트워크 이론 5일차(Subneting, VLSM)
※Subneting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 중 호스트 비트를 사용 하되, 맨 왼쪽부터 씀 ex)172.16.2.160의 경우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 이므로 이를 이진수로 다시 표시하면, 1111 1111.1111 1111."0000 0000.0000 0000"(빨간색 부분)가 되고,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이 호스트 비트가 되므로, 호스트 비트의 맨 왼쪽부터 1로 바꾸어줌 -이진수 '1'이 연속으로 나와야 함 ex)1111 1111.1111 1111.1100 1100 은 서브넷 카스크가 될 수 없음 ex)255.255.10.0 ?? 255.255.199.0 ?? 255.255.240.0 ?? 1)Network가 조건인 경우 → 2^n >= Network의 숫자 Host field에서 ..
2023.09.22 -
네트워크 이론 4일차(주소체계 복습 및 이해)
※네트워크의 주소 체계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일반적으로 IP주소만을 보기 때문에 IP주소로만 통신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IP를 MAC으로 바꾸는 절차를 거친다. -IP주소와 MAC주소를 서로 매핑하는 절차를 ARP라고 한다. ※ IP addressing -IP address →IP는 논리적인 주소. TCP/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장비들에게는 고유의 IP주소가 부여된다(주소가 같은 다른 장비가 존재한다면 IP주소가 서로 충돌) →IP address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구성(IP address = Network ID + Host ID) ex)교실 이름과 학생 번호 →IP주소는 Network 부분과 Host 부분으로 구분 →하나의 네트워크란 ..
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