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입문 - 사용자 관리
리눅스는 서버 1대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
리눅스에는 root 즉, admin이 존재하며 root계정은 모든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vi /etc/passwd를 입력하면 여러 사용자를 볼 수 있다.
여기서 각 행은 "사용자 이름:비밀번호:사용자 ID:사용자 소속 그룹 ID:추가 정보:홈 디렉토리:기본 셸"을 뜻한다.
위의 train 사용자를 예를 들어보겠다.
train(사용자 이름):x[비밀번호(/etc/shadow에서 확인가능))]:1000(사용자ID):1000(그룹ID):train,,,(추가정보):/home/train(홈 디렉토리):/bin/bash(기본 셸)
/etc/group 파일의 각 행은 "그룹 이름:비밀번호:그룹ID:그룹이용자 로 구성되어있다.
train(그룹 이름):x(비밀번호):1000(그룹ID):(그룹이용자가 없어 표기되어지지 않는다. 만약 이용자가 많다면 ,로 구분된다.)
그 아래를 보면
sambashare(그룹이름):x(비밀번호):130(그룹 ID):train(그룹이용자)로 표기된다.
사용자, 그룹 관련 명령어
adduser -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
passwd -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명령어
usermod - 사용자의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
userdel - 사용자를 삭제하는 명령어
chage -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바꾸는 날짜를 정하여 정해진 날짜에 변경하게 만드는 명령어(--help 부가옵션 참고)
groups -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을 보여주는 명령어
groupadd - 새로운 그룹을 생성해주는 명령어
groupmod - 그룹의 속성을 변경해주는 명령어
groupdel - 그룹을 삭제하는 명령어
gpasswd - 그룹의 비밀번호를 설정,관리하는 명령어
어려워 보이지만 쉽게 생각하면
add - 추가, passwd - password의 약자, mod - mode의 약자
del - delete의 약자, chage - change의 약자 등으로 평소에 알고있던
영어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user와 group만 서로 바꿔준다면
뒤에 따라오는게 비슷한 경우가 많기에 외울 때 쉽게 외울 수 있다.
이제 직접 사용자를 만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