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이론 7일차(Router의 Mode, 콘솔포트)
※Router의 Mode
3)User Mode
-사용중인 Router에 Console 혹은 Telnet으로 접속하면 처음 보이는 화면
-프롬프트가 기복적으로 'Router>'로 표시
-User mode에서는 Ping test 혹은 Trace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Router의 구성파일을 보거나 수정할 수는 없다.
-가장 기본적인 실행모드,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 모드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맞게 끔 명령어를 제한
->즉, User mode에서는 제한된 명령어를 사용해 간단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지만 설정은 할 수 없다.
4)Privileged Mode
-Router의 운영자 모드
-User mode에서 'enable' 명령어를 사용하면 Privileged Modefh emfdjdhsek.
(password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password를 입력해야 한다.)
Router>enable
password:
Router#
-Privileged Mode에서는 상세한 확인 및 점검이 가능하지만 설정은 할 수 없다.
설정이 가능한 Global Configuration mode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User mode로 나오고 싶을 경우 'disable'명령어를 사용.
5)Global configuration Mode(설정 모드)
-Router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새로 설정할 겨우 사용하는 모드
-User mode에서는 바로 들어올 수 없고 Privileged mode에서 'configure terminal' 명령어를 입력하면 들어올 수 있다.
Router#configure terminal
Enter configuration command, one per line, End with CNTL/Z.
Router(config)#
-Router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설정이 가능한 모드
-Privilieged Mode로 나올 경우 'exit','end' 명령어나 Ctrl+z를 사용.
※ 콘솔포트
-Router(config)# line con 0
-Router(config-line)#login
-Router(config-line)#password 12345
※ 보조포트(Aux)
-Router(config)# line aux 0
-Router(config-line)#login
-Router(config-line)#password 12345
※Priviliged 모드 진입시
-Router#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 enable password 12345
※privilege 모드 진입시
-입력하는 패스워드 설정
-Router#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 enable secret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