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이론 2일차(OSI 7계층 복습, 수신방식, 이더넷)
※7 Layer - Application
-사용자를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
-program :웹 브라우저(IE,Chrome,FireFox) 이메일(outlook),MS-Exchange 파일전송 (알FTP,파일질라)
-protocol:웹브라우저(HTTP) 이메일(SMTP,POP3,iMAP) 파일전송(FTP,torrent)
6 Layer - Presentation (표현계층)
-데이터의 표현과 압축 및 압축해체, 암호화 및 복호화의 기능을 제공
-데이터:텍스트(ASCII,Unicode.....) 미디어(MP4,AVI,AP3.....) 이미지(JPEG,BMP,GIF.....)
5Layer - session(세션 계층)
-프로세스 간의 연결 및 유지 또는 제어의 기능을 제공
ex)카카오톡 메신저 네이버,구글 서버에 로그인
4Layer - Transport(전송 계층)
-데이터를 목적지 프로세스까지 전달하기 위한 기능 제공
-port address:2^16=65536 HTTP(80),FTP(20,21),SMTP(25),Telnet(23)
0~1023번: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1024번~49151번:등록된 포트(상업용 port)
49152번~65535번:동적포트(Client port)
-TCP 신뢰성 높다. 전송속도 느림
-UDP 신뢰성 낮다. 전송속도 빠름
3Layer -Network(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를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전달하기 위한 기능 제공
-IP Address: IPv4(2^32 = 약 43억개),IPv6(2^128 = 약 340간개)
-Protocol: IP,ICMP(Ping),Routing protocol(RIP,EIGRP,OSPF)
2Layer - Data Link(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를 목적지 Device까지 전달하기 위한 기능 제공 Network 연결 타입에 따른 기능 제공
-BMA(Broadcast Multi - Access):Ethernet(Mac Address) point - to - point : ppp /HDLC
NBMA(Nom-BMA) : Frame -Relay(DLCI_
-LAN(Ethernet,WAN(PPP / HDLC / Frame-Relay)
1Layer - Phisical(물리적 계층)
-물리적 매체를 위한 기능 제공(케이블 규격,커넥터규격,전기 신호 규칙)
OSI Model > 참조모델 > 통신하는 모든 모델의 표준화
-------------------------------------------------------------------------------------------
※Twisted-pair (최대 전송거리 100M)
-UTP(Unshielded-TP):전기 신호의 간섭을 보호 할 수 없다.
-STP(Shielded-TP):전기 신호의 간섭을 보호 할 수 있다.
※Coaxial(동축케이블) -송신이나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다.
-ThinNet:구리선의 두께가 얇다(185M 제한)
-ThickNet:구리선의 두께가 굵다(500M거리 제한)
※Fiber-optic(광 케이블)
-Multi Mode:단파장(여려 파장으로 분리가 되어 전달)
유리섬유의 두께가 넓다(500M~2KM거리 제한)
-Single Mode:정파장(하나의 파장을 이용하여 전달)
유리섬유의 두께가 작다(~10KM거리 제한)
※Duplex - 동시 송수신 방식
종류 :단방향,양방향,반양방향 동작 방식이 있다.
-단방향(simplex):네트워크 케이블이나 통신 채널에서 정보를 오직 한 방향으로만 전달
-반양방향(half-duplex):두 노드간에 양방향으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지만 한 시점에서는 오직 한 방향만을 이용
-양방향(full-duplex):두 장비가 양방향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대역폭이 두배로 늘어난다 -이론적으로만)
-------------------------------------------------------------------------------------------
★★★★★
※1)이더넷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킹 방식의 거의 90%이상이 이더넷 방식이다.
-CSMA/CD라는 통신방식을 사용한다.(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대충 알아서 눈치로 통신하자"라는 개념
※CSMA/CD
-Carrier Sense:이더넷 환경에서 통신을 원하는 PC가 네트워크상에 통신이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
-Multiple Access:네트워크 상에서 두 개 이상의 PC나 서버가 동시에 네트워크 상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경우.
-Collision Detection:두 개의 장비들이 데이터를 동시에 보내려다 부딪치는 경우를 Collision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