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이론 1일차(네트워크의 기초, OSI 7계층)
Network Type 속도 영역 비용
-LAN 100Mbps~100Mbps 부서 또는 빌딩 높은 초기비용,낮은 유지비용
-WAN 56kbps~T1(1.544Mbps),E1(2.048Mbps) 도시 또는 국가 낮은 초기비용,높은 유지비용
--------------------------------------------------------------------------------------------------------------------------
※Internet?
-Internet은 다수의 네트워크가 서로 접속하여 하나의 큰 네트워크로 통합된 것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인터네트워크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뿐만 아니라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기능을 포함하는 개념
--------------------------------------------------------------------------------------------------------------------------
※인트라넷(intranet)
-사적 인터넷처럼 동작하는 내부 네트워크
특징
-외부에 공개되어 있지 않음
-일부는 공개 ex)LMS
※엑스트라넷(extranet)
-내부에서 사용하는 사적 인터넷임과 동시에 내부에서 결정한 외부 접근 허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네트워크
특징
-하청업체가 업무를 할 수 있게 만든 홈페이지
-일반 고객에게도 공개 ex)배송추적,버스시간어플
--------------------------------------------------------------------------------------------------------------------------
※프로토콜(Protocol)
=언어=규약(약속)
-(사전적 의미)외교관의 행동 규범이나 에티켓 양식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장비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 알고리즘, 메세지기타 방식을 정의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둘 이상 장비의 같은 OSI참조 모델 계층끼리의 통신방법을 설명
★연결형 프로토콜과 비 연결형 트로토콜
-연결형 프로토콜(connetion-oriented):두 장비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논리적 연결을 맺도록 요구
-비 연결형 프로토콜(conectionless):장비간 논리적 연결 없이 데이터를 즉시 전송
--------------------------------------------------------------------------------------------------------------------------
※Circuit-Switching(서킷 스위칭)& Packet-Switching(패킷 스위칭)
-Circuit-Switching:통신을 하고자 하는 두 장비간에 서킷이라는 연결이 맺어진다(통신이 일어나기전에.)한번 맺어진 경로로 통신.
ex)전화
-Packet-Switching:데이터를 패킷이라는 작은 조각으로 나눈 뒤 전송. 전송을 위한 특정 경호가 존재하지 않는다.
ex)우편 시스템
--------------------------------------------------------------------------------------------------------------------------
1)OSI 7 Layer 모델
-데이터의 흐름이 한 눈에 보인다.
-Trouble shooting이 쉽다.
-네트워크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네트워크 동작 과정을 쉡게 습득할 수 있다.
-계층을 7단계로 구분하고 각 층별로 표준화를 했기 때문에 여러 회사 장비를 사용해도 네트워크가 이상 없이 돌아간다.
※1계층:Physical Layer(물리 계층)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물리적인 표준 정의
-전기적,기계적,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
-Physical 계층 장비:리피터, 허브
-통신단위:비트(★)
※2단계 계층:Data link Layer(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 계층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신뢰성을 제공한다.
-피지컬 레이어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활을 한다.
-통신의 오류도 찾아주고 재전송도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계층에서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을 안전하게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맥 어드레스를 가지고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Data link 계층 장비:Switch,Bridge
-통신단위:프레임(★)
※3단계 계층:Network Layer(네트워크 계층)
-Logical address(IP,IPX)를 담당하고 packet(패킷)의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best path(최적 경로)선택
-Network 계층장비:Router
-통신단위:패킷(★)
※4단계 계층:Transport Layer(전송 계층)
-정보를 분할하고, 상대편에 도달하기 전에 다시 합치는 과정을 담당(Segment:Layer 4의 data단위)
-목적지 컴퓨터에서 발신지 컴퓨터 간의 통신에 있어서 에러제어(error control)와 흐름제어(flow control)을 담당
-Layer4 프로토콜:TCP,UCP
→TCP:신뢰성,연결지향성,속도 느림
→UDP:비 신뢰성,비연결지향성,속도 빠름
※5단계 계층:Session Layer(세션 계층)
▶5단계 부터는 사용자 계층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할 경우 양폭 호스트 간에 최초 연결이 되게 하고 통신 중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유지 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즉,통신을 하는 두 호스트들 사이에 세션을 열고,다고 그리고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
※6단계 계층:Presentation Layer(표현 계층)
-전송하는 데이터의 Format을 결정
-다양한 데이터 Format을 일관되게 상호 변환하고 압축기능 및 암호화,복호화 기능을 수행
-ASCII,EBCDIC,GIF,JPEG,AVI,MPEG 등
※7단계 계층:Application Layer(응용계층)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역활을 담당하는 계층
-즉,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ex)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프로토콜 정의
→HTTP(80),FTP(20,21)(접속시 20,보내줄땐 21),Telnet(23),SMTP(25),DNS(53),TFTP(69)등(여기서 숫자는 포트번호)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보내면 물리 계층에서 전기 신호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보낸다. 이 과정이 인캡슐레이션
보낸 신호를 받는 쪽에서 다시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보낸다. 이 과정이 디캡슐레이션